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AFxm0/btq9LqDc1wi/jE3dwQC8ybr8jSRsfTL7gK/img.png)
Express를 통해 스태틱파일을 서빙해보자. 스태틱파일은 보통 서버에 저장해 둔 파일을 사용자가 바로 내려받거나, css나 html을 내려받을 때 사용된다. 사용법은 간단하다. app.use(express.static('src/public')) 이 코드를 미들웨어를 사용하듯 추가하면 된다. 스태틱파일서빙을 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이 있다. 만약에 사용자가 /users/13 라는 주소로 접속을했다. 원래 프로그램의 의도는 해당하는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보여줘야한다. 그러나 만약 스태틱파일을 서빙하는 src/public 폴더 내에 users/13 라는 파일이 있다면 사용자에게 html페이지를 보여주는 것이 아닌 해당 파일을 보내게 된다. 이것은 우리가 원하지 않은 결과일 것이다. 가장 간단한 해결방법에는 스태..
Node.js
2021. 7. 17. 00:13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typeORM
- java
- BFS
- 그리디
- 컴퓨터 통신
- 투포인터
- 그래프
- 백트래킹
- boj
- 재귀
- nestjs
- 알고리즘
- 시뮬레이션
- 세그먼트 트리
- node.js
- 자바스크립트
- 백준
- 자바
- 스레드
- 중앙대학교
- 구현
- nest.js
- 벨만포드
- nodeJS
- dfs
- Computer Architecture
- 예외처리
- ReactNative
- 컴퓨터 구조
- 동적계획법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글 보관함